나노팀(Nano TIM) 어떤 회사인가
2차 전지용 방열 소재를 개발, 생산하는 회사입니다.
주력 생산 제품은 배터리 모듈과 배터리 팩 사이에 위치해 빈 공간 (Gap)을 메꿔주는 액체인 갭필러와 고체인 갭패드입니다. 전자제품의 경우 방열문제를 효과적으로 컨트롤하지 못할 시 제품의 작동 및 신뢰성과 수명에 큰 영향을 미치는데 이 때문에 나노팀 같은 회사의 역할이 중요 해진 것입니다.
방열소재: 배터리의 충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을 적절히 외부로 방출해 주는 역할을 합니다.
갭필러: 액상 형태로 플랫폼 기반 전기차 배터리 방열소재입니다.
갭패드: 고체 형태로 파생 EV 전기차용 배터리, 가전, 사운드바, 사이니지용 방열소재입니다.
나노팀 매출 현황
기업의 전체 매출에 열관리 소재인 갭필러와 갭패드의 비중이 2022년 3분기 기준으로 90% 이상으로 이 두 품목이 매출에 가장 큰 역할을 하고 있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그래서 무엇보다 이 두 품목의 역할이 중요하겠습니다.
배터리가 자동차에 들어가기까지의 과정
배터리 셀: 양극, 음극, 분리막, 전해액 이 네 가지로 구성되는 배터리의 최소 단위
배터리 모듈: 모듈 1개당 약 12~48개의 셀
배터리 팩 : 팩 1개당 약 8~40개의 모듈
전기자동차: 전기자동차 1대당 팩 1개
이렇게 해서 배터리 셀의 단위가 점점 커져 모듈을 지나 팩이 되어 전기 자동차에 들어가게 됩니다.
이 중에서 배터리 셀과 모듈을 담당하는 것이 우리가 알고 있는 배터리 셀 업체( LG엔솔, 나온, 삼성 SDI 등)이고,
배터리 팩과 완성된 전기 자동차가 완성차 업체(현대기아차, 테슬라 등)에 속하게 됩니다.
리튬 이온 배터리의 원리
충전: 양극에 있던 리튬이온이 음극으로 이동
방전: 음극에 있던 리튬이온이 양극으로 이동
발열 : 리튬이온이 양극에서 음극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발생
그러므로 발열과정에서 발 생하는 이 열을 어떻게 처리하는 가가 전기차의 성능과 안정에 중요한 핵심 과정이 됩니다. 이것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가가 경쟁력이 되겠습니다.
나노팀 제품의 주요 특징
- Application별 다양한 방열 솔루션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 고객의 니즈에 따른 고객맞춤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기존 제품의 변형을 통한 하이브리드 제품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 열계면소재를 중점으로 합니다.
- 방열설계 및 컨설팅이 가능합니다.
- 표면처리기술을 가지고 있습니다.
- 통합 방열 솔루션 제공합니다.
방열소재 분야 경쟁사
전기차용 갭패드와 갭필러 시장은 전기차 시장의 성장에 따라서 시장규모가 점점 증가하고 있습니다. 시장 규모가 증가함에 따라 기존에 방열소재 제조를 하던 회사들 이외에 실리콘 소재를 취급하던 회사들도 신규 사업을 통해 방열소재 시장에 진출하고 있는 현실입니다.
국내 경쟁사 : LG화학, KCC, 신성유화 등
해외 경쟁사 : Henkel, 3M, 신에츠화학, 다우코닝 등
국내 경쟁사들은 국내외 전기차 완성차업체를 대상으로 갭패드, 갭필러 매출이 발생하고 있지 않으며, 해외경쟁사들은 해외 완성차 업체를 대상으로 전기차용 방열소재 매출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때문에 현 상황이 유지된다면 나노팀은 굉장히 매력 있는 회사이지만 경쟁이 심화된다면 단가 인하 경쟁에 노출될 수밖에 없습니다.
주요 고객사 및 공급 모델
나노팀 공모주 일정 (KOSDAQ)
청약일정 : 2023.02.20 (월)~2023.02.21 (화)
공모가 희망밴드 : 11,500~13,000원
확정공모가 : 미정
총 공모 금액 (공모가 상단): 약 267억 원
시가총액 (공모가 상단) : 약 2,490 억 원
균등배정 10주(공모가 상단) : 65,000원의 증거금 필요
환불일 : 2023. 02.23
상장일 : 2023.03.03
청약증권사 : 한국투자증권
공모자금 사용목적
이번 상장 공모를 통해서 조달된 자금은 시설자금 투자와 채무 상환 자금에 사용될 예정입니다. 늘어나는 발주 예상 물량에 따라 추가 공장 증설을 위해 토지 매입 후 착공에 들어갈 계획입니다.
상장직후 유통가능 주식수
상장예정 주식수 19,154,328주 중 4,173,748주 (21.79%)
상단 기준 금액으로 약 543억 원, 기존 주주 11.09%
밸류에이션
밴드 하단 기준으로 천보, 후성, SKC 보다 높게 측정되었습니다. 다른 소재주들보다 높고 경쟁이 심해질 수 있는 부분이라서 그것도 고려해야 합니다.
결론
공모가가 너무 높게만 측정되지 않고 만원 초반대로 나온다면 가장 좋겠지만, 그렇지 않더라도 수요예측이 좋지 않았던 제이오도 상승을 많이 보여주었기 때문에 2차 전지 관련주 불패를 생각하면 균등은 시도해 볼만하다고 생각합니다.
2월 공모주 삼성스팩8호가 궁금하시다면 공부해 보세요.
삼성스팩 8호 2월 공모주, 대형 스팩의 위엄 보여줄 것인가
요즘 공모주 시장이 다시 활기를 띠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삼성 스팩 8호가 상장하게 되는데요 그동안 삼성스팩 시리즈들은 대부분 결과가 모두 좋아 사람들의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삼성스
momyhsh.com
환율 전망, 킹달러 다시 오나
원-달러 얼마나 올랐나? 긴축이 장기화될 것이라는 미 연방준비제도(Fed)의 전망이 나오면서 원-달러 환율이 장중 1,300원대를 넘었습니다. 2월 고점이 1,303.8원으로 갱신되었고 2월 5 이상 상승한
momyhsh.com
댓글